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탄소국경세(CBAM)란? EU 탄소규제 총정리 & 한국 기업의 생존 전략

by 쉽게배우는 기후과학 교양서 2025. 7. 5.
반응형

2026년 전면 시행되는 EU 탄소국경세(CBAM), 한국 수출기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정의부터 적용 방식, 피해 업종, 정부·기업의 대응 전략까지 완전 정리했습니다.

탄소국경세(CBAM)란? EU 탄소규제 총정리 & 한국 기업의 생존 전략
탄소국경세(CBAM)란? EU 탄소규제 총정리 & 한국 기업의 생존 전략

○ 탄소국경세(CBAM)란?

EU 탄소규제 총정리 & 한국 기업의 생존 전략


 목차

  1. 탄소국경세(CBAM)란?
  2. CBAM의 도입 배경과 목표
  3. 적용 품목과 단계별 시행 일정
  4.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5. 정부·업계 대응 전략
  6. 기업별 사례 분석
  7. 맺음말

 

1. 탄소국경세(CBAM)란?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즉 탄소국경조정제도는 EU가 역외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일종의 '탄소 관세'입니다.

  • 개념: 수입품이 EU 내부 제품보다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하면, 그 차이만큼 세금 부과
  • 도입국: 유럽연합(EU) 주도
  • 도입 이유: 탄소 누출(Carbon Leakage) 방지 및 글로벌 탄소중립 동참 유도

탄소누출이란?
탄소규제가 약한 국가로 기업이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현상 → EU는 이를 막기 위해 CBAM 도입

 


 

2. CBAM의 도입 배경과 목표

목적 내용
EU 역내 산업 보호 역내 제조업이 탄소세 부담을 지는 반면, 수입품은 규제 없음 → 형평성 문제
전 세계 탈탄소 압박 비EU국가 기업들도 탄소배출 저감 유도
EU 기후목표 달성 2030년까지 탄소배출 55% 감축, 2050 넷제로 달성의 일환

📈 EU는 탄소감축을 세계 기준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적 규제 장치로 CBAM을 설정한 셈입니다.


 

3. 적용 품목과 단계별 시행 일정

○ 적용 대상 품목 (1단계)

품목 한국 수출 비중 비고
철강 매우 높음 POSCO 등 영향권
알루미늄 높음 이차전지 소재 연관
시멘트 국내 수출 미미 국내엔 간접 영향
비료 낮음 향후 농산물 연계 가능성
전기·수소 일부 EU 역내 제조 비교 기준 어려움

○ 시행 일정

단계 내용 기간
1단계 보고 의무만 부과 (세금 無) 2023.10 ~ 2025.12
2단계 세금 부과 개시 2026.01 이후
3단계 품목 확대 가능성 (예: 자동차, 전자제품) 2028년 이후?

⚠️ 2026년부터 한국 철강 수출 기업은 톤당 약 80~100유로의 추가 비용 부담 발생 가능성

 


 

4.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분야 영향
철강·알루미늄 수출 가격 경쟁력 하락, 납품처 이탈 위험
배터리 소재 간접 규제 영향 → 원재료 인증 요구 증가
탄소회계 관리 기업 전반에 Scope 1·2·3 탄소계수 요구
탄소배출권 비용 증가 자체 감축하지 않으면 배출권 매입비용 상승

📉 한국 기업의 유럽 수출액은 연간 약 70조 원. 그중 15% 이상이 CBAM 대상 품목에 포함될 가능성 있음.


 

5. 정부·업계 대응 전략

○ 정부 대응

  • 한국형 CBAM 설계 검토 중
  • 탄소배출 데이터 표준화
  • 무역분쟁 예방 위해 EU와 협의 지속
  • ZEB 인증·RE100 참여 기업에 보조금 확대

○ 기업 대응 전략

전략 설명
LCA 기반 탄소회계 도입 제품별 배출량 명확화로 세금 절감
RE100·탄소중립 인증 확보 수출 경쟁력 유지 필수 조건
EU CBAM 전담 TF 구성 보고·신고·인증 절차 매뉴얼화
배출권 선매입 or 감축기술 투자 비용 상승 대비 장기전략

 

6. 기업별 대응 사례

○ POSCO

  • 전기로 확대 + 수소환원제철 시범사업 착수
  • 2030까지 전체 철강 중 30% 탄소중립 기술 전환 목표

○ 현대자동차

  • 배터리·부품사 탄소데이터 수집 체계화
  • 유럽향 전기차 라인업 탄소발자국 공개 예정

○ SK E&S

  • 글로벌 탄소회계 시스템 SAP 기반 전환
  • 수출제품별 LCA DB 구축

 

7. 맺음말

탄소국경세(CBAM)는 단순한 무역 장벽이 아닙니다.
기후정책이 곧 경제 전략이 되는 시대, 한국 기업은 탄소를 줄이는 것이 곧 수출권 유지입니다.

○  지금 우리는

  • 제품 생산에서 배출되는 탄소의 숫자를 알고
  • 이를 줄이기 위한 기술과 제도를 이해하며
  •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을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오늘의 실천
🔲 CBAM 보고의무 대상 업종 확인하기
🔲 Scope 1·2·3 탄소계수 측정 체계 갖추기
🔲 탄소감축 인증·LCA·RE100 도입 여부 검토